노후 준비를 위해 많이 준비하는 상품으로 연금저축펀드와 IRP(개인형 퇴직연금)가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증권사에서 가입하고, IRP는 은행에서 가입하게 됩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드는 분들은 대부분 IRP 계좌를 동시에 가입해서 세액공제의 혜택과 노후준비를 동시에 챙기게 됩니다.
사회 초년생이나 세액공제, 절세라는 단어가 아직 생소한 분들이라면 연금저축펀드나 IRP를 가입하는 것이 왜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한 번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목차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회사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다음 해에 연말정산이라는 것을 하게 됩니다. 내가 회사에서 근무를 하면서 받는 돈은 소득세와 주민세(지방소득세)가 공제돼서 나옵니다. 즉, 내 급여와 수당에서 세금을 뺀 금액만 내 통장에 들어오는 거죠.
소득세와 주민세는 급여를 지급하기 전에는 일종의 추정치로 납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씨의 올해 월급과 연봉이 이 정도 수준으로 지급될 거니까, 세금은 매달 그 수준에 맞춰 적당한 금액으로 납부를 하게 되는 거죠.
하지만 이렇게 매달 나가는 세금은 결국은 추정치에 근거해서 납부한 것이기 때문에 1년이 지난 후 나의 실제 급여액이 계산되어야 하고, 그 급여액에 따라 과세표준이 계산됩니다.
이 과세표준을 가지고 최종 확정된 세금 총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만약 1년 동안 내가 낸 세금이 확정된 세금 액수보다 많다면, 그만큼 돌려받는 것이고, 적다면 그만큼 더 내야 하는 거죠. 이 때 특정 조건을 갖춘 사람들에 한해 확정된 세금 총액을 빼주는 것을 세액공제라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가입하면 이렇게 내야 할 세금 액수에서 얼마씩을 빼주는 세액공제의 혜택이 주어지는 거죠.
과세 이연 효과가 있습니다.
과세 이연이라는 것은 세금을 내는 시기를 뒤로 늦추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IRP에서 예금을 들고 만기가 되면 이자를 받겠죠. 이 때, 일반 계좌라면 그 이자에서 바로 이자소득세를 떼고 받게 됩니다.
하지만 IRP의 경우에는 예금 만기가 되어도 이자소득세를 떼지 않은 금액이 IRP 통장에 찍히게 됩니다. 그럼 세금은 언제 낼까요? 은퇴 후 IRP 통장에 모은 돈을 연금으로 받을 때 냅니다. 이렇게 세금을 나중에 내는 것은 다음에 나올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장점과 연결됩니다.
저율 과세 혜택을 줍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예금 들어서 이자를 받으면, 그 이자에서 이자소득세라는 걸 뗍니다. 그게 15.4%예요. 하지만 IRP(개인형 퇴직연금)에서는 그 세금을 연금소득세로 떼기 때문에 5.5%에서 3.3%까지로 줄일 수가 있습니다. 다만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경우 자유납이긴 하지만 5년 이상 가입하고 55세 이후부터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그래서 ‘연금’인 거죠.
저율 과세 혜택이 있기 때문에 연금저축펀드와 IRP에서 많이 활용하는 자산 증식 방법의 하나로 ETF나 펀드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운용보수가 없는 ETF라는 상품에 많이 투자하게 되는데, ETF는 펀드와 유사하지만 운용보수가 없고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는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ETF 안에는 우량 주식들이 많이 담겨 있죠.
연금저축펀드와 IRP에서 ETF 거래를 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역시 저율 과세 혜택 때문입니다. 현재 ETF 거래를 해서 매매차익이나 배당소득이 발생했을 경우, 배당소득세라는 것을 떼이게 됩니다.(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하므로 제외합니다.) 배당소득세도 이자소득세와 마찬가지로 15.4%인데, 연금저축펀드나 IRP로 ETF 상품에 투자한 후, 55세 이후부터 찾아 쓰게 되면 연금소득세 5.5%만 떼이게 되고, 이마저도 나이가 들수록 세금이 조금씩 더 줄어듭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단점
포스팅을 자세히 읽어보신 분은 눈치 채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최대 단점은 돈이 장기간 묶인다는 사실입니다. 구체적으로는 5년 이상 가입 기준을 충족해야 하고, 모든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55세 이후부터 10년 이상 연금식으로 수령해야 합니다.
소득이 많아서 세액공제 금액이 많이 필요한 분이거나, 노후를 위해 일정한 금액을 장기간으로 묶어둘 수 있는 분들이라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가입 도중에 목돈이 필요해서 해지하게 될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파헤쳐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