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지하철 탈 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필수!(체크카드, 신용카드 가능)

2023. 7. 26.

 

요즘 들어 서민들을 위한 정책들이 예전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민들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대중교통입니다. 오늘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인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출발지부터 첫 정류장까지의 거리 + 마지막 정류장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의 도보거리 합을 계산하여 대중교통 이용 금액과 도보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정해진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사업입니다. 도보 이동거리의 합계는 최대 800m까지만 계산해 줍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의 마일리지는 한 달에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급되며, 한 달 최대 60회 이용분까지 마일리지 적립이 됩니다. 단, 가입 첫 달은 이용 횟수 15회 미만도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또한 환승과정의 이동 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앱은 만 19세 이상, 알뜰교통카드 사업에 참여 중인 지역 주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지자체 주민, 만 19세 미만의 청소년은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번호로 외국인거소사실이 증명될 경우 가입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발급된 알뜰교통카드 사용은 전국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시작은 광역알뜰교통카드였고, 이후 알뜰교통카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올해 7월부터는 혜택이 확대되면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사업 시행 중입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가입 방법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카드 발급 신청 및 수령 후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홈페이지 혹은 앱에서 회원가입을 완료하면 됩니다. 이후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앱을 필수적으로 다운로드하여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용 방법

(출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홈페이지)

 

알뜰교통카드 플러스의 기본 흐름은 출발지부터 첫 정류장까지의 거리 + 마지막 정류장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최초 출발지에서 알뜰교통카드 앱의 ‘출발’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첫 정류장에서 알뜰교통카드를 태그 합니다(알뜰교통카드를 찍고 탑승합니다). 마지막 정류장에서 알뜰교통카드를 태그합니다(알뜰교통카드를 찍고 하차합니다). 마지막으로 도착지(회사, 집 등)에서 알뜰교통카드 앱의 ‘도착’ 버튼을 누릅니다.

 

최초 가입 시에는 즐겨찾기 입력을 통해 주로 사용하는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액

(출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홈페이지)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은 [출발지점부터 첫 정류장까지의 보행 또는 자전거 이동거리+마지막 정류장에서 도착지점까지의 보행 또는 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해서 지급됩니다. 단, 도보 이동거리가 800m 이상일 경우 최대금액을 지급합니다. 최대금액은 대중교통요금이 2천 원 미만일 경우 250원, 2천 원 이상 ~ 3천 원 미만은 350원, 3천 원 이상은 450원이 마일리지로 적립됩니다. 도보 이동거리가 800m 미만일 경우에는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단, 환승과정의 도보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 19세~34세 청년층의 경우에는 대중교통요금이 2천 원 미만일 경우 350원, 2천 원 이상~3천 원 미만일 경우는 500원, 3천 원 이상일 경우는 650원이 마일리지로 적립됩니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확인서를 앱에 등록 혹은 제출하고 저소득층을 인정받을 경우 대중교통요금이 2천 원 미만일 경우 700원, 2천 원 이상 ~ 3천 원 미만은 900원, 3천 원 이상은 1,100원으로 마일리지 적립액이 상향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액은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내 정보에서 주민등록상 주소지 검증이 정상 완료되지 않을 경우, 마일리지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산 부족 시 지급액이 변경되거나 지급 중지 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의 종류

- 노선버스: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 도시철도: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경전철 포함)

 

- 여객철도: 광역철도(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일반 철도 제외)

 

 

알뜰교통카드 사업 지역

(2023-07-01 기준)

 

서울특별시 전역, 부산광역시 전역, 대구광역시 전역, 인천광역시 전역, 광주광역시 전역, 대전광역시 전역, 울산광역시 전역, 세종특별자치시 전역, 경기도 전역, 경상남도 전역, 제주특별자치도 전역

 

경상북도(포항시, 경주시, 영주시, 김천시, 영천시, 구미시, 상주시, 칠곡군, 경산시, 안동시)

 

강원도(춘천시, 강릉시, 원주시, 홍천군, 양양군),

 

충청북도(청주시, 옥천군, 제천시, 충주시),

 

충청남도 전역, 전라북도(전주시, 완주군, 익산시, 남원시, 군산시, 정읍시),

 

전라남도(무안군, 순천시, 신안군, 목포시, 여수시, 해남군, 광양시, 나주시, 담양군)

카드 종류

후불형

후불교통카드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국민카드, 농협카드, 광주은행, 기업은행, 케이뱅크에서 발급하는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선불형

캐시비, IM원패스,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후불형

모바일 티머니 혹은 캐시비를 활용하여 알뜰교통카드를 등록하면 모바일 후불형으로도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