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처음에 검색포털 사이트로 그 이름을 알렸지만 구글맵, 구글 플레이스토어, 유튜브 등 구글이라는 이름은 이제 우리 생활 속의 일부분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구글 스칼라라는 눈에 띄는 서비스가 있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스칼라(혹은 구글 스콜라)의 원어명은 Google Scholar입니다. Scholar는 학자를 의미합니다. 즉, 학문과 관련된 서비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학술검색 즉, 논문, 학술지, 간행물 등의 검색에 특화된 구글의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이용하는 사람들은 논문 검색이 필요한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생들의 컴퓨터에는 항상 구글 스칼라가 켜져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구글 스칼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구글 스칼라의 기본화면을 살펴보겠습니다. 메인 서비스인 구글과 크게 다르지 않은 깔끔한 화면입니다. 기본적인 검색창이 있고, 언어 선택을 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왼쪽 위에는 메뉴 버튼과 내 프로필, 내 서재 버튼이 있네요. 검색창 아래의 문구가 눈에 띕니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 아이작 뉴턴’. 게임에 치트키가 있다면 인생의 치트키는 고전이라는 얘기가 있던데, 세계 석학들의 논문 역시 연구의 치트키가 되어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검색창에 ‘인터넷’이라는 단어를 넣고 검색해보니, 다음과 같이 논문을 포함한 관련 학술 정보들이 검색됩니다. 목록을 보시고 필요한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자료들의 경우 유료자료와 무료자료가 섞여 있기 때문에 모든 자료를 열람할 수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목록의 왼쪽으로 기간을 설정하는 메뉴가 있고, 정렬 방법, 언어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와서 왼쪽 위의 메뉴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메뉴 항목들이 뜹니다. 메뉴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항목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메뉴인 ‘내 프로필’에 들어가면 내 이름과 소속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뜹니다. 이 메뉴는 실제로 연구를 진행하는 학자들의 경우 본인 연구를 홍보하고 본인 논문이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자 등록을 하는 화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순히 학술 정보를 검색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메뉴는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두 번째 메뉴 ‘내 서재’는 학술 정보를 검색하면서 나중에 다시 읽어볼 자료들을 즐겨찾기 해두는 기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앞서 검색창에서 학술 자료들을 검색했을 때 밑에 보이는 별표를 클릭해두면 나중에 ‘내 서재’에서 해당 자료를 다시 읽어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네 번째 메뉴 ‘통계’에서는 카테고리별, 언어별 상위 저작물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본 화면에서는 영어의 전체 카테고리 상위 저작물들이 나오는데, Nature지가 가장 상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메뉴 ‘알리미’는 별도 알림 설정을 해놓으면 알림을 받는 기능이라 넘어갑니다.)
다섯 번째 메뉴 ‘고급 검색’으로 검색 조건을 상세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검색 단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와 저자, 매체, 기간 검색이 가능합니다.
여섯 번째 메뉴 ‘설정’에서는 기타 검색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 메뉴에서 가장 눈여겨볼 기능은 ‘라이브러리 링크’입니다. 앞서 구글 스칼라 검색화면에서 ‘인터넷’이라는 검색어를 넣고 논문들을 검색했을 때, 목록에 있는 자료들은 유료자료일 수도 있고, 무료자료일 수도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유료자료들 중에서는 대학교 도서관에서 학술 제휴를 통해 무료로 제공하는 자료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대학생 신분으로서 구글 스칼라를 이용해 학교 도서관과 연계된 자료를 열람하고 싶다면 ‘라이브러리 링크’에서 구글 스칼라 계정을 학교 도서관과 연결해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학교 도서관과 연결을 시켜서 유료 자료를 무료로 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학교 도서관의 아이디가 있어야 합니다. 혹은 학교 도서관 컴퓨터로 구글 스칼라 검색을 하면 해당되는 자료들은 무료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글 스칼라 계정을 학교 도서관에 연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설정 메뉴의 ‘라이브러리 링크’에서 학교 이름을 검색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다시 메인 화면에서 자료를 검색하면 자료 옆에 'Findit @ OOO'라는 링크가 뜨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만약 서울대학교로 저장했다면 Findit @ SNU가 뜹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서울대학교 도서관 아이디로 로그인을 할 수 있고, 해당 논문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구글 스칼라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논문 검색을 해보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