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 증여세 면제한도와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증여세 계산기를 살펴봤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와 증여세 계산기
내 자식에게 혹은 내 부모님께 현금을 비롯한 재산을 드리는 행위 등을 가리켜 모두 증여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증여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증여세를 내야만 합니다. 하지만 일상적인 용돈, 유
jeepw.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여세의 영원한 단짝! 상속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는 사실 살아생전에 재산이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증여할 재산이 없다면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상속세는 다릅니다. 내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내가 먹고살기 위해 자식에게 줄 돈이 없다고 하더라도, 죽고 난 후에는 내 재산이 모두 자식들에게 상속되기 때문이죠. 상속세 면제 한도액은 얼마인지, 어디서 상속세 계산을 해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상속세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속세는 사망한 사람의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에게 넘어갈 경우, 상속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세는 재산을 물려받는 사람 즉, 상속인이 내야 합니다.
상속인? 피상속인?
상속재산을 받는 사람 = 상속인
상속재산을 물려주는 사람 = 피상속인
상속인과 피상속인은 한자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이 매우 헷갈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상속인과 피상속인의 개념을 확실히 잡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산을 물려받는 사람이 상속인, 재산을 물려주는 사람은 피상속인입니다.
상속세 신고납부기한
1. 피상속인(재산을 물려주는 사람)이 국내에 주소를 두는 사람인 경우,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
2. 피상속인(재산을 물려주는 사람)이 해외에 주소를 두는 사람의 경우,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
상속세의 신고납부기한은 상속해주는 사람의 국내 거주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거주자의 경우 상속개시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3월 5일에 상속을 받았다면, 9월 30일이 납부기한이 됩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기본적으로 상속세 공제가 되는 항목은 ‘기초공제 및 인적공제’와 ‘일괄공제’ 두 가지로 구분 지어 볼 수 있습니다. ‘기초공제 및 인적공제’는 기초공제 2억 원에 인적공제액을 더해서 계산할 수 있고, ‘일괄공제’는 5억 원입니다. 계산 후, 이 두 가지 공제 중에 더 공제금액이 큰 경우로 본인의 상속세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초공제 및 인적공제액’이 5억 원이 안 된다면, 더 큰 금액인 ‘일괄공제액’인 5억 원으로 상속세를 공제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공제는 ‘배우자 상속공제’입니다. 만약 상속해주는 사람에게 배우자가 없다면 기초공제 및 인적공제와 일괄공제 중 큰 금액으로 할 수 있으니 최소 5억 원의 상속세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배우자가 있을 경우, 추가로 최소 5억 원이 공제가 가능하고, 상속금액이 5억 원이 넘을 경우, 최대 30억 원까지 상속세 공제가 가능합니다.
상속세 세율
1. 1억 원 이하: 10%
2. 5억 원 이하: 20%(누진공제액: 1천만 원)
3. 10억 원 이하: 30%(누진공제액: 6천만 원)
4. 30억 원 이하: 40%(누진공제액: 1억 6천만 원)
5. 30억 원 초과: 50%(누진공제액: 4억 6천만 원)
상속세 세율은 증여세 세율과 동일합니다.
상속세 계산기
그럼 상속세 계산을 해볼까요? 상속세 계산을 위해서는 상속세의 대상이 되는 금액 즉, 상속세 과세가액을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상속세 과세가액 = 총 상속재산가액 - 비과세 및 과세가액 불산입액 - 공과금·장례비용·채무 + 사전증여재산
이 상속세 과세가액에 상속 면제 항목을 빼고, 세율을 곱한 후 누진공제액을 빼면 상속세 산출세액이 나옵니다.
네. 매우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따라서 손으로 계산해보는 것보다는 상속세 계산기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합니다. 아래에 온라인으로 계산해볼 수 있는 상속세 계산기 두 종류의 링크를 걸어놓았습니다. 둘 중 쓰기 편한 곳으로 접속 후, 해당되는 내용을 채워 넣고, 상속세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조세일보에서 제공하는 상속세 계산기
:: 상속세 계산기 ::
www.joseilbo.com
▼ 부동산계산기.com에서 제공하는 상속세 계산기
부동산계산기
부동산계산기 DTI DSR 신DTI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xn--989a00af8jnslv3dba.com
국세청 홈페이지를 확인하자
상속세의 경우, 상속세 계산 이전에 상속의 순위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되고, 이외에도 사전증여재산 정보 등이 파악되어야 정확한 상속세 계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상속 이전에 치밀한 준비와 계산이 선행되어야만 필요한 부분에서 절세가 가능하고, 막상 일이 닥쳤을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와 마찬가지로 상속세도 국세청에서 해당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 국세청 홈페이지
국세청
컨텐츠 제 목 상속세란? 01 상속세란?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02 상속세 납세의무
www.nts.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