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제제의 생활 정보32

황달 수치로 잘 알려진 빌리루빈 수치 -빌리루빈(bilirubin)이란? 쓸개즙에 있는 황갈색 색소물질을 말합니다. 빌리루빈이 생기는 대부분의 이유는 혈액 속의 오래된 적혈구가 분해될 때, 적혈구의 성분 중 하나인 헤모글로빈도 분해되는데, 이 때 빌리루빈이 발생합니다. -빌리루빈의 종류 1) 간접 빌리루빈: 적혈구의 수명은 120일 정도입니다. 따라서 120일이 지난 적혈구는 비장(지라)에서 분해됩니다. 이 때 적혈구 속에 있던 헤모글로빈이 분해되는데 이 헤모글로빈이 분해되면서 1차적으로 빌리루빈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이 빌리루빈을 간접 빌리루빈이라고 합니다. 간접 빌리루빈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상태이며, ‘비결합 빌리루빈’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2) 직접 빌리루빈: 1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장(지라)에서 적혈구가 분해되면서 만들어진.. 2020. 6. 23.
구글 스칼라(Google Scholar)로 논문 찾기 구글은 처음에 검색포털 사이트로 그 이름을 알렸지만 구글맵, 구글 플레이스토어, 유튜브 등 구글이라는 이름은 이제 우리 생활 속의 일부분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구글 스칼라라는 눈에 띄는 서비스가 있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스칼라(혹은 구글 스콜라)의 원어명은 Google Scholar입니다. Scholar는 학자를 의미합니다. 즉, 학문과 관련된 서비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학술검색 즉, 논문, 학술지, 간행물 등의 검색에 특화된 구글의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이용하는 사람들은 논문 검색이 필요한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생들의 컴퓨터에는 항상 구글 스칼라가 켜져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구글 스칼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 2020. 5. 27.
CEA 수치의 정상범위는 얼마인가? 1. CEA 수치란? CEA 수치는 Carcino-embryonic antigen의 약자로 암배아항원을 의미하며, 이는 배아조직에서 발견되는 당단백질입니다. 일반적으로 태어나면서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에게는 혈액 속에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농도로 존재합니다. CEA 수치는 주로 위장관암, 그러니까 위와 장을 포함하고 있는 소화기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종양표지자 검사입니다. CEA 수치는 대장암에서 그 수치가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대장암의 추적 관찰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CEA 수치와 관련한 연구가 거듭되면서 대장암뿐만 아니라, 유방암, 폐암, 간암 등에서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위암, 췌장암, 난소암 등에서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따라.. 2020. 5. 25.
CRP 수치(염증반응 검사)의 의미? CRP 수치는 ESR 수치와 마찬가지로 염증 반응 검사입니다. CRP의 측정은 혈액을 채취해서 하게 됩니다. CRP 수치에서 ‘CRP(C-reactive protein)’는 C반응성단백을 의미합니다. 이 C반응성단백(CRP)은 몸속에 염증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려주는 물질입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이 CRP의 양을 측정해서 CRP 수치가 정상수치의 범위를 넘는다면 몸속에 염증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CRP 수치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CRP는 몸속에 감염 혹은 염증이 발생하면 간에서 만들어져 혈액 속으로 분비됩니다. 이렇게 감염이나 염증 등에 반응해서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을 급성기 반응물질이라고 합니다. 이 급성기 반응물질은 외상이나 수술 등에 의해서도 그 수치가 증가하거나 감.. 2020. 5. 15.
빈혈만 있어도 높게 나오는 ESR 수치 ESR 수치는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의 약자입니다. 뜻은 적혈구 침강 속도, 즉, 적혈구가 가라앉는 속도에 관한 수치입니다. 적혈구가 가라앉는 속도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정답은 바로 염증입니다. ESR 수치는 염증에 관한 지표입니다. ESR 수치를 통해 적혈구 침강 속도를 살펴보면 감염, 종양, 자가면역질환 등을 포함하는 급성 및 만성 염증의 지속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만약 ESR 수치가 높다면, 적혈구가 가라앉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고, 이는 염증이나 감염, 종양이 몸속에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ESR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수직으로 된 얇은 관에 검사할 혈액을 넣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혈구가 얼마나 바닥으로 가라앉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2020. 5. 12.
오메가3의 대체재, 크릴오일! 영양제 오메가3의 대체재로 크릴오일이 뜨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에서 노벨 푸드로 선정되면서 주목 받고 있는 크릴오일은 우리나라에서도 각종 건강 방송 프로그램과 언론 매체의 홍보 등에 힘입어 높은 인지도와 판매량으로 매진 행렬을 달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크릴오일이 정확히 무엇이고, 크릴오일을 영양제로 섭취했을 경우에 어떤 효능이 있는지 알아본 후, 어떤 기준을 가지고 크릴오일을 선택해야 올바르게 섭취할 수 있는지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 크릴오일의 원료, 크릴(Krill)? 크릴오일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우선 크릴오일의 원료인 크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릴(Krill)이라는 말은 원래 노르웨이의 포경선에서 '작은 치어'라는 뜻으로 사용했던 용어로, 바다에 떠다니는 다양한 종류의 갑각류를 가리키.. 2020. 5. 9.
피로회복, 간 질환에 도움이 되는 알부민! 주사 가격은 얼마인가? 알부민을 검색하면 피로회복제, 간 영양제로 홍보하며 다양한 종류의 알부민 영양제가 판매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부민을 찾는 분들 역시 알부민을 영양제 정도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알부민은 건강한 보통 사람에게는 특별한 효능이 없는 단순 단백질입니다. 오늘은 알부민에 대해 알아보고, 알부민 주사를 맞아야하는 분들을 위해 병원에서 맞는 알부민 주사 가격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알부민이란? 알부민은 사람의 체액 속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단순 단백질로써 세포의 기초물질을 구성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120년 전만 해도 물에 잘 녹는 단순 단백질을 통칭해서 알부민이라고 불렀고, 나머지 물에 잘 녹지 않는 단순 단백질을 글로불린이라고 불렀습니다. 알부.. 2020. 3. 5.
당화혈색소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당화혈색소란? 혈액 속에 존재하는 적혈구는 혈액 속에서 산소를 운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혈액 속에는 포도당도 떠다니는데, 이 포도당은 적혈구 속에 있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단백질과 결합하게 됩니다. 이렇게 포도당과 혈색소가 결합된 형태를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라고 합니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혈액 검사를 통해 혈액 속에 포도당과 결합한 혈색소의 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2~3개월 동안의 기간을 잡고 조사해보는 것입니다. 2~3개월의 혈당 변화를 검사하는 이유는 적혈구의 평균 수명기간과 관계가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일반적으로 당화혈색소 수치는 백분율(%)로 나오는데, 5.6%까지가 당화혈색소 정상수치라고 보고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수치별 .. 2020. 2. 27.
췌장암 표지자 검사로 널리 알려진 [CA19-9] CA19-9(carbohydrate antigen 19-9)는 일반적으로 암표지자 검사로서 진행됩니다. 즉, 암세포가 생겼나 안 생겼나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라는 뜻입니다. CA19-9 검사는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위암에서 그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CA19-9 검사는 췌장암 여부를 조기에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CA19-9는 혈액검사로 이루어집니다. CA19-9 검사 하나만 가지고는 당연히 암 진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치가 유의미할 정도로 수치 이상을 보일 경우에는 영상 검사(CT, MRI, PET 등)와 조직 검사를 병행해야 확진할 수 있습니다. CA19-9의 정상 수치는 37 U/mL 이하라고 일반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련 질환이 없는 사람이라고 하더라.. 2020. 2. 24.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수치. 어디까지가 정상수치일까? 갑상선은 우리 뇌 속에 있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상하부가 명령을 내리면 뇌하수체가 그 명령을 받아서 다시 갑상선에게 명령을 내리게 되어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의 양이 적거나 많을 경우에 시상하부에서 적당한 양의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뇌하수체에게 명령을 내려줍니다. 그러면 뇌하수체가 중간에서 시상하부의 명령을 받고 다시 갑상선에게 명령을 내리는데, 이 때 뇌하수체가 갑상선에게 명령하기 위해 사용하는 호르몬이 바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입니다. 오늘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의 의미와 정상 수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은 갑상선을 자극시켜서 갑상선 호르몬이 만들어지.. 2020. 2. 17.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 무슨 차이가 있나? 1. 콜레스테롤이란? 콜레스테롤은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지방질의 한 종류입니다. 콜레스테롤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비타민 D를 만드는 재료가 되는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물질입니다. 그러나 필요 이상의 콜레스테롤은 죽상경화증(동맥경화)을 일으키기 때문에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지방질은 크게 4가지 종류입니다.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그것입니다. 보통 건강검진에서 혈액검사 소견 중 이상지질혈증 부분에서 이 4가지 지방질들의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총콜레스테롤은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을 하나로 묶어 부르는 명칭입니다. 구분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정상 200mg/dL 미만 1.. 2020. 2. 6.
갑상선 기능 저하증 혹은 갑상샘 저하증에 대해 알아보자 갑상선은 목의 앞부분에 있는 몸의 기관입니다. 이 갑상선은 뇌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갑상선에서 만들어진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의 속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갑상선에 생기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샘 저하증이라고도 불리는데, 갑상선 호르몬이 잘 안 만들어져서 몸속에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상태를 말하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얘기합니다. 그렇다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되면 어떤 증상을 느낄까요? 1. 몸의 피로감과 무기력함으로 인해 의욕상실을 느낍니다. 2. 체온이 낮아져서 추위를 많이 탑니다. 3. 입맛.. 2020. 2. 3.